<table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width:750px">
<tbody>
<tr>
<td>
<p style="margin-left: 49.2pt;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2024년 도로 교통량 조사」 결과 발표 </strong></span></p>
<p style="text-align: center;">- 평균 일교통량은 16,262대(전년 대비 1.3% ↑), 이동 거리는 지구 둘레 약 1만 3천 배</p>
</td>
</tr>
</tbody>
</table>
<p> </p>
<p style="margin-left:19.5pt">□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에 대한 2024년 교통량조사* 결과를 5월 1일 발표하였다.</p>
<p style="margin-left:19.6pt"> </p>
<p style="margin-left:29.4pt">* 도로건설 계획 수립, 교통수요 분석, 도로포장 설계, 산업‧연구 등 자료로 활용</p>
<p style="margin-left:29.4pt">** 조사지점 : 총 3,920개 지점(고속국도 686, 일반국도 1,623, 지방도 1,611)</p>
<p style="margin-left:28.0pt"> </p>
<p style="margin-left:26.6pt">ㅇ 24년 한 해 동안 도로를 통행한 차량을 하루 평균으로 산출(평균 일교통량)한 결과, 전년 대비 1.3% 증가한 16,262대로 나타났다. 도로 교통량은 지난 10년간(‘15년~’24년) 연평균 1.6% 증가하는 추세이다.</p>
<p style="margin-left:31.9pt"> </p>
<p style="margin-left:28.2pt">- 이는 자동차등록대수의 증가(전년 대비 1.3% ↑)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p>
<p style="margin-left:26.5pt"> </p>
<p style="margin-left:21.7pt">□ (도로 종류별) 고속국도 평균 일교통량은 53,392대(전년 대비 1.6% ↑), 지방도 평균 일교통량은 5,934대(전년 대비 1.1% ↑)로 전년 대비 증가한 반면, 일반국도는 13,136대(전년 대비 0.3% ↓)로 다소 감소하였다.</p>
<p style="margin-left:25.0pt"> </p>
<p style="margin-left:19.7pt">□ (차량 종류별) 승용차 평균 일교통량이 11,906대(73.2%)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화물차 4,053대(24.9%), 버스 303대(1.9%)이다.</p>
<p style="margin-left:28.0pt"> </p>
<p style="margin-left:26.6pt">ㅇ 버스(2.3% ↓)와 화물차(0.2% ↓)는 감소한 반면, 승용차 비중은 전년보다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승용차 중심의 이동 패턴이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p>
<p style="margin-left:19.5pt">□ (시기별) 주(7시~19시)에 평균 일교통량의 76.4%가 이동하며, 시간대는 16~17시, 요일별로는 금요일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
<p style="margin-left:32.1pt"> </p>
<p style="margin-left:20.1pt">□ (도로 구간별) 평균 일교통량이 가장 많은 구간은 고속국도의 경우 수도권 제1순환선인 경기 하남시의 하남 분기점(JCT)에서 남양주시 퇴계원 나들목(IC, 13.6km)으로 222,540대이다.</p>
<p style="margin-left:19.6pt"> </p>
<p style="margin-left:29.2pt">* 2023년 평균 일교통량이 가장 많았던 경부고속도로 신갈 분기점(JCT)~판교 분기점(JCT, 13km)은 2% 감소(216,982→212,537대)</p>
<p style="margin-left:29.4pt"> </p>
<p style="margin-left:28.9pt">ㅇ 일반국도는 자유로에 위치한 77호선 서울시계~고양시 장항 나들목(IC) 구간(191,565대, 19.5km)으로 출퇴근 시간대 교통량이 집중되었다.</p>
<p style="margin-left:28.4pt"> </p>
<p style="margin-left:28.0pt">ㅇ 지방도는 화성과 수원을 연결하는 309호선 화성시 천천 나들목(IC)~서수원 나들목(IC) 구간(127,525대, 5.6km)이며, 인근 산업단지 등에서 차량 유입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p>
<p style="margin-left:20.1pt"> </p>
<p style="margin-left:21.6pt">□ (지역별) 경기도의 평균 일교통량이 40,677대(전년 대비 1.7% ↑)로 가장 많고, 강원도가 가장 낮은 8,292대(전년 대비 1.3% ↓)로 조사되었다.</p>
<p style="margin-left:19.8pt"> </p>
<p style="margin-left:28.8pt">ㅇ 충청북도는 평균 일교통량 증가율(2.9%, 14,128→14,539대)이, 제주도는 감소율(4.3%, 11,649→11,147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
<p style="margin-left:32.1pt"> </p>
<p style="margin-left:19.8pt">□ 디지털도로팀 허나윤 팀장은 “하루 평균 교통량의 이동 거리는 약 5억1천 6백만km로 지구를 12,885바퀴 도는 거리에 해당한다”면서,</p>
<p style="margin-left:22.0pt"> </p>
<p style="margin-left:28.9pt">ㅇ “교통량 빅데이터가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의 정확도․확장성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AI) 영상분석 교통량 조사 장비를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p>
<p style="margin-left:19.6pt"> </p>
<p style="margin-left:29.4pt">* 최근 3년간 교통량 정보 제공 건수 : 216,476건</p>
<p style="margin-left:21.7pt"> </p>
<p style="margin-left:19.5pt">□ 이번 교통량 조사 결과는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tat.molit.go.kr)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교통량 정보 제공시스템’(http://www.road.re.kr)을 통해서 5월 1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p>
<p style="margin-left:19.5pt"> </p>
<p style="margin-left:19.5pt"><a href="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912" target="_blank">※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2024년 도로 교통량 조사」 결과 발표
- 평균 일교통량은 16,262대(전년 대비 1.3% ↑), 이동 거리는 지구 둘레 약 1만 3천 배
|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에 대한 2024년 교통량조사* 결과를 5월 1일 발표하였다.
* 도로건설 계획 수립, 교통수요 분석, 도로포장 설계, 산업‧연구 등 자료로 활용
** 조사지점 : 총 3,920개 지점(고속국도 686, 일반국도 1,623, 지방도 1,611)
ㅇ 24년 한 해 동안 도로를 통행한 차량을 하루 평균으로 산출(평균 일교통량)한 결과, 전년 대비 1.3% 증가한 16,262대로 나타났다. 도로 교통량은 지난 10년간(‘15년~’24년) 연평균 1.6% 증가하는 추세이다.
- 이는 자동차등록대수의 증가(전년 대비 1.3% ↑)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
□ (도로 종류별) 고속국도 평균 일교통량은 53,392대(전년 대비 1.6% ↑), 지방도 평균 일교통량은 5,934대(전년 대비 1.1% ↑)로 전년 대비 증가한 반면, 일반국도는 13,136대(전년 대비 0.3% ↓)로 다소 감소하였다.
□ (차량 종류별) 승용차 평균 일교통량이 11,906대(73.2%)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화물차 4,053대(24.9%), 버스 303대(1.9%)이다.
ㅇ 버스(2.3% ↓)와 화물차(0.2% ↓)는 감소한 반면, 승용차 비중은 전년보다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승용차 중심의 이동 패턴이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시기별) 주(7시~19시)에 평균 일교통량의 76.4%가 이동하며, 시간대는 16~17시, 요일별로는 금요일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도로 구간별) 평균 일교통량이 가장 많은 구간은 고속국도의 경우 수도권 제1순환선인 경기 하남시의 하남 분기점(JCT)에서 남양주시 퇴계원 나들목(IC, 13.6km)으로 222,540대이다.
* 2023년 평균 일교통량이 가장 많았던 경부고속도로 신갈 분기점(JCT)~판교 분기점(JCT, 13km)은 2% 감소(216,982→212,537대)
ㅇ 일반국도는 자유로에 위치한 77호선 서울시계~고양시 장항 나들목(IC) 구간(191,565대, 19.5km)으로 출퇴근 시간대 교통량이 집중되었다.
ㅇ 지방도는 화성과 수원을 연결하는 309호선 화성시 천천 나들목(IC)~서수원 나들목(IC) 구간(127,525대, 5.6km)이며, 인근 산업단지 등에서 차량 유입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 (지역별) 경기도의 평균 일교통량이 40,677대(전년 대비 1.7% ↑)로 가장 많고, 강원도가 가장 낮은 8,292대(전년 대비 1.3% ↓)로 조사되었다.
ㅇ 충청북도는 평균 일교통량 증가율(2.9%, 14,128→14,539대)이, 제주도는 감소율(4.3%, 11,649→11,147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디지털도로팀 허나윤 팀장은 “하루 평균 교통량의 이동 거리는 약 5억1천 6백만km로 지구를 12,885바퀴 도는 거리에 해당한다”면서,
ㅇ “교통량 빅데이터가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의 정확도․확장성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AI) 영상분석 교통량 조사 장비를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 최근 3년간 교통량 정보 제공 건수 : 216,476건
□ 이번 교통량 조사 결과는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tat.molit.go.kr)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교통량 정보 제공시스템’(http://www.road.re.kr)을 통해서 5월 1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