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width:750px">
<tbody>
<tr>
<td>
<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친환경 모빌리티 산업의</strong></span></p>
<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순환경제 지원 거점 마련</strong></span></p>
<p style="text-align: center;">친환경 모빌리티에 특화된 제1호 「순환경제 혁신지원센터」 개소(3.11, 청주)</p>
</td>
</tr>
</tbody>
</table>
<p> </p>
<p> </p>
<p>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모빌리티 부품의 재제조를 지원하는「순환경제 혁신지원센터(이하 센터)」가 3월 11일(화) 청주 현도산단에서 문을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제조업의 순환경제* 촉진을 위해 유망 분야의 순환경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에 개소한 ‘센터’는 첫 번째로 친환경 모빌리티 산업에 특화되어 관련 부품의 분해·보수·재조립 등 재제조 분야를 지원하게 된다.</p>
<p> </p>
<p>* 제품의 전(全)과정에서 자원을 폐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친환경 경제</p>
<p> </p>
<p>센터는 총사업비 244억원(국비 99억원, 지방비 100억원, 민간투자 45억원)이 투입되어 연면적 2,231.7㎡, 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되었으며, 총 14종의 장비를 도입하여 운용할 계획이다.</p>
<p> </p>
<p>자동차 부품의 순환경제는 그동안 내연기관차의 부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오늘날 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보급·확산에 따라 앞으로는 노후화되는 친환경차 부품에서도 재제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p>
<p> </p>
<p>앞으로 센터는 전동기(모터), 배터리 등 친환경차 부품과 관련하여 ①재제조를 위한 부품 설계·해석 지원(장비 6종), ②신뢰성·수명예측 지원(장비 4종), ③품질인증 지원(장비 4종) 등 분야에서 재제조 기술개발 및 시제품 제작 등을 종합 지원한다.</p>
<p> </p>
<p>개소식에 참석한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축사를 통해 “친환경 모빌리티 재제조에 특화된 센터가 개소된 만큼, 우리 자동차 재제조 산업의 외연확대와 미래 준비를 위한 전초기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언급하며, “정부도 산업의 선제적인 순환경제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앞으로 유망분야의 ‘순환경제 혁신지원센터’를 지속 설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 </div>
<div><a href="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3f49a5a8c/170258/view?mno=&pageIndex=1&rowPageC=0&displayAuthor=&searchCategory=0&schClear=on&startDtD=&endDtD=&searchCondition=1&searchKeyword=#" target="_blank">※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div>
친환경 모빌리티 산업의
순환경제 지원 거점 마련
친환경 모빌리티에 특화된 제1호 「순환경제 혁신지원센터」 개소(3.11, 청주)
|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모빌리티 부품의 재제조를 지원하는「순환경제 혁신지원센터(이하 센터)」가 3월 11일(화) 청주 현도산단에서 문을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제조업의 순환경제* 촉진을 위해 유망 분야의 순환경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에 개소한 ‘센터’는 첫 번째로 친환경 모빌리티 산업에 특화되어 관련 부품의 분해·보수·재조립 등 재제조 분야를 지원하게 된다.
* 제품의 전(全)과정에서 자원을 폐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친환경 경제
센터는 총사업비 244억원(국비 99억원, 지방비 100억원, 민간투자 45억원)이 투입되어 연면적 2,231.7㎡, 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되었으며, 총 14종의 장비를 도입하여 운용할 계획이다.
자동차 부품의 순환경제는 그동안 내연기관차의 부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오늘날 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보급·확산에 따라 앞으로는 노후화되는 친환경차 부품에서도 재제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센터는 전동기(모터), 배터리 등 친환경차 부품과 관련하여 ①재제조를 위한 부품 설계·해석 지원(장비 6종), ②신뢰성·수명예측 지원(장비 4종), ③품질인증 지원(장비 4종) 등 분야에서 재제조 기술개발 및 시제품 제작 등을 종합 지원한다.
개소식에 참석한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축사를 통해 “친환경 모빌리티 재제조에 특화된 센터가 개소된 만큼, 우리 자동차 재제조 산업의 외연확대와 미래 준비를 위한 전초기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언급하며, “정부도 산업의 선제적인 순환경제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앞으로 유망분야의 ‘순환경제 혁신지원센터’를 지속 설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