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p>
<table>
<tbody>
<tr>
<td style="height:118px; width:638px">
<p><strong><span style="font-size:18px">언제 어디서든 더욱 안전하게,</span></strong></p>
<p><strong><span style="font-size:18px">AI 기반 대국민 재난·안전서비스 본격 추진</span></strong></p>
</td>
</tr>
<tr>
<td style="height:50px; width:638px">
<p style="margin-left:20.5pt"><strong><span style="font-size:18px">- 재난·안전 업무 전반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전환하는 국민 안전 강화 방안 마련</span></strong></p>
</td>
</tr>
</tbody>
</table>
<p> </p>
<p style="margin-left:19.6pt">□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국민의 안전한 일상을 지키기 위해 재난·안전 분야 업무 전반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전환(AX)하는 내용을 담은 ‘AI 기반 국민 안전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p>
<p style="margin-left:19.6pt"> </p>
<p style="margin-left:30.5pt">○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5월 재난·안전 정보시스템 개편 계획*을 발표한 이후, 국민이 재난·안전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담당 공무원이 재난 현장에서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해 왔다.</p>
<p style="margin-left:30.5pt"> </p>
<p style="margin-left:35.4pt">* (주요내용) ▴풍수해관리, 상황전파 등 내부 업무처리 시스템 통합 ▴재난안전 관련 대국민 서비스 통합 ▴재난 현장 대응 지원을 위한 모바일용 재난관리 기능 보강 등</p>
<p style="margin-left:19.6pt"> </p>
<p style="margin-left:28.3pt">○ 최근 국지성 극한호우, 유례없는 대형 산불 등으로 피해가 잇따르면서, 개인에게 특화된 ‘개인 맞춤형 재난안전정보 제공’의 필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p>
<p style="margin-left:28.5pt"> </p>
<p style="margin-left:19.9pt">□ 이에, 행정안전부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대국민 재난·안전정보 제공 창구를 통합하고, 국민이 쉽고 편리하게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p>
<p style="margin-left:19.6pt"> </p>
<p style="margin-left:30.6pt">○ 우선, 올해 ‘국민안전24’를 개통한다. ‘국민안전24’는 기존 국민에게 재난·안전정보를 제공하던 창구 5종*을 하나의 누리집과 앱으로 통합한 서비스이다.</p>
<p style="margin-left:31.7pt"> </p>
<p style="margin-left:30.5pt">* ①국민재난안전포털 ②생활안전지도 ③국민안전교육플랫폼 ④안전신문고 ⑤어린이놀이시설</p>
<p style="margin-left:30.2pt">-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과거 피해 이력 ▴기상특보 ▴대피소 위치 등 주변 위험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기상특보에 따른 행동요령도 안내할 예정이다.</p>
<p style="margin-left:30.2pt"> </p>
<p style="margin-left:28.3pt">○ 아울러, 대화형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문자·음성·영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는 챗봇(Chat bot) 서비스를 개발하고, 안전신문고에는 멀티모달 데이터*를 활용해 위험 사진만 올려도 자동으로 신고 문구가 생성되는 기능을 도입한다.</p>
<p style="margin-left:30.5pt"> </p>
<p style="margin-left:35.4pt">* 문자, 이미지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결합</p>
<p style="margin-left:19.6pt"> </p>
<p style="margin-left:19.5pt">□ 김용균 예방안전정책실장은 “AI 기반 재난·안전서비스 추진을 통해, 국민 개개인의 상황에 맞춰 필요한 재난·안전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a href="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7cu-sQ-6NKuJQzkTzocSrYUi.node40?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20619" target="_blank">※ 출처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div>
언제 어디서든 더욱 안전하게,
AI 기반 대국민 재난·안전서비스 본격 추진
|
- 재난·안전 업무 전반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전환하는 국민 안전 강화 방안 마련
|
□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국민의 안전한 일상을 지키기 위해 재난·안전 분야 업무 전반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전환(AX)하는 내용을 담은 ‘AI 기반 국민 안전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
○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5월 재난·안전 정보시스템 개편 계획*을 발표한 이후, 국민이 재난·안전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담당 공무원이 재난 현장에서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해 왔다.
* (주요내용) ▴풍수해관리, 상황전파 등 내부 업무처리 시스템 통합 ▴재난안전 관련 대국민 서비스 통합 ▴재난 현장 대응 지원을 위한 모바일용 재난관리 기능 보강 등
○ 최근 국지성 극한호우, 유례없는 대형 산불 등으로 피해가 잇따르면서, 개인에게 특화된 ‘개인 맞춤형 재난안전정보 제공’의 필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 이에, 행정안전부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대국민 재난·안전정보 제공 창구를 통합하고, 국민이 쉽고 편리하게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 우선, 올해 ‘국민안전24’를 개통한다. ‘국민안전24’는 기존 국민에게 재난·안전정보를 제공하던 창구 5종*을 하나의 누리집과 앱으로 통합한 서비스이다.
* ①국민재난안전포털 ②생활안전지도 ③국민안전교육플랫폼 ④안전신문고 ⑤어린이놀이시설
-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과거 피해 이력 ▴기상특보 ▴대피소 위치 등 주변 위험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기상특보에 따른 행동요령도 안내할 예정이다.
○ 아울러, 대화형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문자·음성·영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는 챗봇(Chat bot) 서비스를 개발하고, 안전신문고에는 멀티모달 데이터*를 활용해 위험 사진만 올려도 자동으로 신고 문구가 생성되는 기능을 도입한다.
* 문자, 이미지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결합
□ 김용균 예방안전정책실장은 “AI 기반 재난·안전서비스 추진을 통해, 국민 개개인의 상황에 맞춰 필요한 재난·안전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