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30.(화) 「AI 핵심 프로젝트 TF」 발대식을 개최하였다.<br />
<br />
- AI 핵심 프로젝트 TF는 부내 책임 부서(국)를 지정하고, 현장 경험이 풍부한 민간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민·관 협력체계로 마련되었음. 각 TF는 구체적 성과 창출을 목표로 도전적 핵심 미션을 제시하고, 실행력을 바탕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임.<br />
<br />
- 과기정통부는 우선 즉시 실행이 필요한 6대 핵심 프로젝트를 설정하였음. 주요내용은 ▲국민 체감형 AI 서비스 창출 ▲AI기반 과학기술 연구혁신 ▲공공 AI 혁신▲산업·연구·스타트업 생태계 강화 ▲AI 인재양성 ▲AI 기반 시설 확충임.<br />
<br />
- 향후 TF별 심층 논의와 정책 환경 변화 등을 반영하여 TF별 핵심 미션을 구체화,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며, 핵심 미션 달성을 위해 추진 현황을 매 분기별로 점검해 나갈 계획임.</p>
<p> </p>
<p><a href="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71910&pg=3&pp=20&device=pc&search_txt=&topic=&type=A&depth1=&depth2=" target="_blank">**출처 : KDI(원문보기)</a></p>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30.(화) 「AI 핵심 프로젝트 TF」 발대식을 개최하였다.
- AI 핵심 프로젝트 TF는 부내 책임 부서(국)를 지정하고, 현장 경험이 풍부한 민간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민·관 협력체계로 마련되었음. 각 TF는 구체적 성과 창출을 목표로 도전적 핵심 미션을 제시하고, 실행력을 바탕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임.
- 과기정통부는 우선 즉시 실행이 필요한 6대 핵심 프로젝트를 설정하였음. 주요내용은 ▲국민 체감형 AI 서비스 창출 ▲AI기반 과학기술 연구혁신 ▲공공 AI 혁신▲산업·연구·스타트업 생태계 강화 ▲AI 인재양성 ▲AI 기반 시설 확충임.
- 향후 TF별 심층 논의와 정책 환경 변화 등을 반영하여 TF별 핵심 미션을 구체화,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며, 핵심 미션 달성을 위해 추진 현황을 매 분기별로 점검해 나갈 계획임.
**출처 : KDI(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