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width:750px">
<tbody>
<tr>
<td>
<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과기정통부, “인공 지능 진짜 성장의 기폭제”</strong></span></p>
<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strong></span></p>
<p style="text-align:center">-인공 지능 고속도로” 구축을 위한 「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 추진 방안」 발표</p>
<p style="text-align:center">- '28년까지 그래픽 처리 장치(GPU) 1.5만장 이상 확보, 국가 인공 지능(AI)컴퓨팅 센터 민간 참여자 공모</p>
</td>
</tr>
</tbody>
</table>
<p> </p>
<p>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9월 8일(월) 개최된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출범식 및 제1차 전체회의(오후 2시, 서울스퀘어 17층)에서 「국가 AI컴퓨팅 센터 추진 방안」을 발표하고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을 위한 사업 공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p>
<p> </p>
<p>인공 지능(AI) 컴퓨팅 기반 시설(인프라)은 인공 지능 모형(AI 모델) 개발, 서비스 제공 등을 지원하는 인공 지능 생태계 혁신성장의 필수 기반이자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이다. 해외 주요국은 국제 인공 지능(글로벌 AI) 주도권 확보를 위해 인공 지능(AI) 컴퓨팅 기반(인프라) 확충에 천문학적 투자로 총력 대응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인공 지능 시대의 새로운 사회간접자본인 인공 지능 컴퓨팅 기반을 확충하여 ‘인공 지능(AI)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국가 경제의 체질을 인공 지능 중심으로 재편하여 “진짜 성장”을 견인할 예정이다.</p>
<p> </p>
<p>정부는 인공 지능 고속도로 구축을 위해 민‧관 협력으로 첨단 그래픽 처리 장치(GPU) 5만장 이상을 확보할 계획이다. 우선, 산‧학‧연에 시급한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제공하고자 정부 그래픽 처리 장치(GPU) 확보 사업으로 ’25~’262.8만장, 슈퍼컴 6호기 구축으로 ~’26.상반기0.9만장을 확보한다. 또한, 민․관 합작 ‘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하여 ~’281.5만장 이상을 추가 확보하고 지속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p>
<p> </p>
<p>올해 상반기 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 사업 공모(1차: 1.23~5.30, 2차: 6.2~6.13.)를 추진하였으나 유찰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에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협의하여 민간에서 우려하는 ▲지분 구조(공공지분 51%로 인한 민간 자율성 저하), ▲매수청구권(공공출자금+수익 보장으로 인한 투자 위험 확대), ▲국산 인공 지능 반도체 도입 의무(’30년까지 50% 도입 부담) 등 공모요건을 조정하고 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p>
<p>국가 AI컴퓨팅 센터는 민·관 합작 출자를 통해 특수목적법인(SPC, Special Purpose Company)을 설립하여 구축한다. 이는, 정부 마중물 투자로 민간 투자를 촉진하고, 민간의 전문성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신생기업(스타트업), 대학, 연구소 등이 필요로 하는 첨단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국산 인공 지능(AI) 반도체 활성화, 세계적 기업 협력 등을 통해 국내 인공 지능 생태계 고도화 및 활성화도 지원할 계획이다...중략...</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 </div>
<div><a href="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307&mPid=208&bbsSeqNo=94&nttSeqNo=3186223&formMode=&pageIndex=&searchCtgry=&searchCtgry2=&searchCtgry3=&RLS_YN=&searchOpt=ALL&searchTxt=" target="_blank">※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div>
과기정통부, “인공 지능 진짜 성장의 기폭제”
‘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
-인공 지능 고속도로” 구축을 위한 「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 추진 방안」 발표
- '28년까지 그래픽 처리 장치(GPU) 1.5만장 이상 확보, 국가 인공 지능(AI)컴퓨팅 센터 민간 참여자 공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9월 8일(월) 개최된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출범식 및 제1차 전체회의(오후 2시, 서울스퀘어 17층)에서 「국가 AI컴퓨팅 센터 추진 방안」을 발표하고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을 위한 사업 공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인공 지능(AI) 컴퓨팅 기반 시설(인프라)은 인공 지능 모형(AI 모델) 개발, 서비스 제공 등을 지원하는 인공 지능 생태계 혁신성장의 필수 기반이자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이다. 해외 주요국은 국제 인공 지능(글로벌 AI) 주도권 확보를 위해 인공 지능(AI) 컴퓨팅 기반(인프라) 확충에 천문학적 투자로 총력 대응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인공 지능 시대의 새로운 사회간접자본인 인공 지능 컴퓨팅 기반을 확충하여 ‘인공 지능(AI)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국가 경제의 체질을 인공 지능 중심으로 재편하여 “진짜 성장”을 견인할 예정이다.
정부는 인공 지능 고속도로 구축을 위해 민‧관 협력으로 첨단 그래픽 처리 장치(GPU) 5만장 이상을 확보할 계획이다. 우선, 산‧학‧연에 시급한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제공하고자 정부 그래픽 처리 장치(GPU) 확보 사업으로 ’25~’262.8만장, 슈퍼컴 6호기 구축으로 ~’26.상반기0.9만장을 확보한다. 또한, 민․관 합작 ‘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하여 ~’281.5만장 이상을 추가 확보하고 지속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 사업 공모(1차: 1.23~5.30, 2차: 6.2~6.13.)를 추진하였으나 유찰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에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협의하여 민간에서 우려하는 ▲지분 구조(공공지분 51%로 인한 민간 자율성 저하), ▲매수청구권(공공출자금+수익 보장으로 인한 투자 위험 확대), ▲국산 인공 지능 반도체 도입 의무(’30년까지 50% 도입 부담) 등 공모요건을 조정하고 국가 인공 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민·관 합작 출자를 통해 특수목적법인(SPC, Special Purpose Company)을 설립하여 구축한다. 이는, 정부 마중물 투자로 민간 투자를 촉진하고, 민간의 전문성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신생기업(스타트업), 대학, 연구소 등이 필요로 하는 첨단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국산 인공 지능(AI) 반도체 활성화, 세계적 기업 협력 등을 통해 국내 인공 지능 생태계 고도화 및 활성화도 지원할 계획이다...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