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참고자료] 2026년 산업부 예산 13조 8,778억 원 편성
2025-09-01|
작성자 : 대외협력팀|
조회 : 92
<table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width:750px">
<tbody>
<tr>
<td>
<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2026년 산업부 예산 13조 8,778억 원 편성</strong></span></p>
<p style="margin-left: 37.5pt; text-align: center;">- 산업부(’13~) 예산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 진짜 성장에 마중물 역할 기대</p>
<p style="margin-left: 35.5pt; text-align: center;">- △산업 전반의 AX 확산, △첨단 및 주력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통상·수출 대응 강화, △공급망 강화, △5극3특 균형성장 등 에 집중 투자</p>
</td>
</tr>
</tbody>
</table>
<p> </p>
<p>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2026년 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13조 8,778억 원으로 편성하였다. 이는 2025년 본예산 11조 4,336억 원 대비 2조 4,443억 원(+21.4%) 증가한 것이다.</p>
<p>* 추경 포함시 ’25년 예산은 12조 8,605억원으로 추경 포함 대비 ’26년 예산안 증가율은 7.9%</p>
<p> </p>
<p>산업부는 예산 지출 효율화를 위해 관행적 지출, 유사중복 사업 등을 검토하여 정비하였으며, 이를 통해 절감된 예산은 경제 성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산업 전반의 AX 확산, 첨단 및 주력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통상·수출 대응 강화, 공급망 강화, 5극3특 균형성장 등 분야에 집중 투자하였다.</p>
<p>* 산업부 지출구조조정 내역은 산업부 홈페이지 예산·법령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p>
<p> </p>
<p>2026년 산업부 예산안은 9월 3일 국회 제출 이후 국회 상임위원회, 예결위원회 심사를 거쳐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p>
<p> </p>
<p>< 산업부 본예산 추이(단위 : 백만 원) ></p>
<p> </p>
<table>
<tbody>
<tr>
<td style="height:25px; width:130px">
<p>구분</p>
</td>
<td style="height:25px; width:130px">
<p>비R&D</p>
</td>
<td style="height:25px; width:130px">
<p>R&D</p>
</td>
<td style="height:25px; width:246px">
<p>합계(전년 대비 증감)</p>
</td>
</tr>
<tr>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2021년</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6,234,203</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4,951,774</p>
</td>
<td style="height:28px; width:246px">
<p>11,185,977(+1,749,258, +18.5%)</p>
</td>
</tr>
<tr>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2022년</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5,832,273</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5,324,836</p>
</td>
<td style="height:28px; width:246px">
<p>11,157,109(△28,868, △0.3%)</p>
</td>
</tr>
<tr>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2023년</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5,641,301</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5,432,362</p>
</td>
<td style="height:28px; width:246px">
<p>11,073,663(△83,446, △0.8%)</p>
</td>
</tr>
<tr>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2024년</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6,669,500</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4,809,431</p>
</td>
<td style="height:28px; width:246px">
<p>11,478,931(+405,268, +3.7%)</p>
</td>
</tr>
<tr>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2025년</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6,157,124</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5,276,424</p>
</td>
<td style="height:28px; width:246px">
<p>11,433,550(△45,383, △0.4%)</p>
</td>
</tr>
<tr>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2026년 정부안</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7,708,727</p>
</td>
<td style="height:28px; width:130px">
<p>6,169,080</p>
</td>
<td style="height:28px; width:246px">
<p>13,877,807(+2,444,259, +21.4%)</p>
</td>
</tr>
</tbody>
</table>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 </div>
<div><a href="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3f49a5a8c/170868/view?mno=&pageIndex=1&rowPageC=0&displayAuthor=&searchCategory=0&schClear=on&startDtD=&endDtD=&searchCondition=1&searchKeyword=#" target="_blank">※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div>
2026년 산업부 예산 13조 8,778억 원 편성
- 산업부(’13~) 예산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 진짜 성장에 마중물 역할 기대
- △산업 전반의 AX 확산, △첨단 및 주력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통상·수출 대응 강화, △공급망 강화, △5극3특 균형성장 등 에 집중 투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2026년 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13조 8,778억 원으로 편성하였다. 이는 2025년 본예산 11조 4,336억 원 대비 2조 4,443억 원(+21.4%) 증가한 것이다.
* 추경 포함시 ’25년 예산은 12조 8,605억원으로 추경 포함 대비 ’26년 예산안 증가율은 7.9%
산업부는 예산 지출 효율화를 위해 관행적 지출, 유사중복 사업 등을 검토하여 정비하였으며, 이를 통해 절감된 예산은 경제 성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산업 전반의 AX 확산, 첨단 및 주력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통상·수출 대응 강화, 공급망 강화, 5극3특 균형성장 등 분야에 집중 투자하였다.
* 산업부 지출구조조정 내역은 산업부 홈페이지 예산·법령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2026년 산업부 예산안은 9월 3일 국회 제출 이후 국회 상임위원회, 예결위원회 심사를 거쳐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 산업부 본예산 추이(단위 : 백만 원) >
구분
|
비R&D
|
R&D
|
합계(전년 대비 증감)
|
2021년
|
6,234,203
|
4,951,774
|
11,185,977(+1,749,258, +18.5%)
|
2022년
|
5,832,273
|
5,324,836
|
11,157,109(△28,868, △0.3%)
|
2023년
|
5,641,301
|
5,432,362
|
11,073,663(△83,446, △0.8%)
|
2024년
|
6,669,500
|
4,809,431
|
11,478,931(+405,268, +3.7%)
|
2025년
|
6,157,124
|
5,276,424
|
11,433,550(△45,383, △0.4%)
|
2026년 정부안
|
7,708,727
|
6,169,080
|
13,877,807(+2,444,259, +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