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width:750px">
<tbody>
<tr>
<td>
<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 개최,</strong></span></p>
<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AI시대 공공AX 본격화 논의</strong></span></p>
<p style="text-align: center;">- 6월 2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 개최</p>
<p style="text-align: center;">- 한국디지털정부협회 회원사 등 AI·디지털 분야 기업의 특별전시도 진행</p>
</td>
</tr>
</tbody>
</table>
<p> </p>
<p style="margin-left:20.0pt">□ 행정안전부는 6월 25일(수), 인공지능(AI) 시대 공공 AX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다.</p>
<p style="margin-left:30.1pt">○ 올해 행사는 ‘2025년 제1회 지능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를 겸해, 1부 ‘전자정부의 날 기념식’과 2부 ‘산·학·연 전문가의 공공 AX* 토론회’로 진행됐다.</p>
<p style="margin-left:35.2pt">* AX (AI+Transformation : 공공 AI 대전환) : 인공지능 기술로 인해 개인·조직·사회 전반의 업무, 소통, 서비스 경험 등이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 전환 현상</p>
<p style="margin-left:34.7pt">※ 전자정부의 날(6월 24일)은 대한민국 최초로 인구통계 처리를 위해 행정기관에 도입된 컴퓨터(IBM 1401)의 가동일인 1967년 6월 24일을 기념해 2017년 제정</p>
<p style="margin-left:19.8pt">□ 이번 행사에는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으로 임명된 하정우 수석이 참석해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공공부문 AI 대전환(AX)의 중요성을 강조했다.</p>
<p style="margin-left:28.1pt">○ 하 수석은 축사에서 “현재 미국, 영국, 중국 등 AI 선도국들은 공공 AX를 통해 AI 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어, 공공 AX는 국가 AX의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하면서,</p>
<p style="margin-left:28.1pt">○ “한국의 공공 AX 또한 관련 산업 육성에 기여하고, AI에 기반하여 행정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꿀 뿐 아니라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p>
<p style="margin-left:29.5pt">○ 또한, “인공지능 책임관(CAIO)이 중심이 되어 국민이 요청하기 전에 필요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전면 개선하는 등 AI혁신정부 구현을 주도해 달라”고 당부했다.</p>
<p style="margin-left:22.1pt">□ 1부 기념식에서는 지능정보화책임관·공무원·기업·국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공 AX 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진행했다.</p>
<p style="margin-left:30.2pt">○ 발제를 맡은 문명재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공동위원장은 “공공 AX는 인공지능(AI) 기술 도입과 함께, ‘AI by Design’을 통해 행정 프로세스와 공공서비스를 전면 재설계해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p>
<p style="margin-left:20.3pt">□ 이어진 2부 공공 AX 토론회에서는 한국디지털정부학회 송석현 회장이 좌장을 맡아, 공공부문 인공지능 서비스 미래 방향을 주제로 해외 공공 AX 사례를 분석하고 논의했다.</p>
<p style="margin-left:19.6pt">□ 한편, 행사장에는 한국디지털정부협회와 협업해 공공부문 정보화 담당자를 위한 인공지능(AI)·디지털기술 서비스 특별 전시장도 마련했다.</p>
<p style="margin-left:28.5pt">○ 전시에 참가한 네이버클라우드는 한국어 특화 LLM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한국은행 업무에 적용한 사례를, LG CNS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업무지능형 플랫폼을 소개했다.</p>
<p style="margin-left:28.7pt">○ 또한, 국산 기술로 자체 개발한 GPU서버, 인공지능(AI)이 119 신고를 분석해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거나, 행정서비스 신청 홈페이지의 접속량을 분석해 과부하를 방지하는 혁신 서비스도 참석자에게 선보였다.</p>
<p style="margin-left:19.8pt">□ 김민재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정부 AI 대전환이 이뤄지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라며, “세계가 인정한 디지털정부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AI 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힘쓰겠다”라고 말했다.</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 </div>
<div><a href="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m+Dit77kvZFeVMBVcUl5DETm.node30?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18484" target="_blank">※ 출처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div>
‘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 개최,
AI시대 공공AX 본격화 논의
- 6월 2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 개최
- 한국디지털정부협회 회원사 등 AI·디지털 분야 기업의 특별전시도 진행
|
□ 행정안전부는 6월 25일(수), 인공지능(AI) 시대 공공 AX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다.
○ 올해 행사는 ‘2025년 제1회 지능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를 겸해, 1부 ‘전자정부의 날 기념식’과 2부 ‘산·학·연 전문가의 공공 AX* 토론회’로 진행됐다.
* AX (AI+Transformation : 공공 AI 대전환) : 인공지능 기술로 인해 개인·조직·사회 전반의 업무, 소통, 서비스 경험 등이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 전환 현상
※ 전자정부의 날(6월 24일)은 대한민국 최초로 인구통계 처리를 위해 행정기관에 도입된 컴퓨터(IBM 1401)의 가동일인 1967년 6월 24일을 기념해 2017년 제정
□ 이번 행사에는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으로 임명된 하정우 수석이 참석해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공공부문 AI 대전환(AX)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하 수석은 축사에서 “현재 미국, 영국, 중국 등 AI 선도국들은 공공 AX를 통해 AI 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어, 공공 AX는 국가 AX의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하면서,
○ “한국의 공공 AX 또한 관련 산업 육성에 기여하고, AI에 기반하여 행정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꿀 뿐 아니라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또한, “인공지능 책임관(CAIO)이 중심이 되어 국민이 요청하기 전에 필요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전면 개선하는 등 AI혁신정부 구현을 주도해 달라”고 당부했다.
□ 1부 기념식에서는 지능정보화책임관·공무원·기업·국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공 AX 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진행했다.
○ 발제를 맡은 문명재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공동위원장은 “공공 AX는 인공지능(AI) 기술 도입과 함께, ‘AI by Design’을 통해 행정 프로세스와 공공서비스를 전면 재설계해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 이어진 2부 공공 AX 토론회에서는 한국디지털정부학회 송석현 회장이 좌장을 맡아, 공공부문 인공지능 서비스 미래 방향을 주제로 해외 공공 AX 사례를 분석하고 논의했다.
□ 한편, 행사장에는 한국디지털정부협회와 협업해 공공부문 정보화 담당자를 위한 인공지능(AI)·디지털기술 서비스 특별 전시장도 마련했다.
○ 전시에 참가한 네이버클라우드는 한국어 특화 LLM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한국은행 업무에 적용한 사례를, LG CNS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업무지능형 플랫폼을 소개했다.
○ 또한, 국산 기술로 자체 개발한 GPU서버, 인공지능(AI)이 119 신고를 분석해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거나, 행정서비스 신청 홈페이지의 접속량을 분석해 과부하를 방지하는 혁신 서비스도 참석자에게 선보였다.
□ 김민재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정부 AI 대전환이 이뤄지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라며, “세계가 인정한 디지털정부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AI 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힘쓰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