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ITS Korea의 국내뉴스 상세입니다.

[산자부/참고자료] 산업부 ‘25년 추가경정예산안 9,591억원 편성 2025-04-21| 작성자 : 대외협력팀| 조회 : 67

산업부 ‘25년 추가경정예산안 9,591억원 편성

- 통상 리스크 대응 6,531억원,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 3,060억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총 13개 사업, 9,591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마련하여 4.18일 국무회의를 거쳐 국회에 제출한다. 금번 산업부 추가경정예산안은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첨단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편성하였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인한 기업들의 피해와 경영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 6,531억원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관세대응 수출바우처와 관세대응 119 운영 등에 888억원을 편성하여 국내 기업들이 당면한 미국 관세조치 관련 수출애로 해소를 지원한다. 이 밖에 무역기술장벽 대응지원 74억원, 통상기반조성 및 역량강화 19억원 등도 증액하였다. 무역보험기금에 3,000억원을 추가로 출연하여 우리기업의 방산‧선박 등 해외수주를 뒷받침한다. 유턴기업과 외투기업의 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396억원을 확충하여 국내 투자유치를 활성화한다. 공급망 안정화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생산 및 광물 비축에 2,154억원을 편성하였다.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육성과 지원에 총 3,060억원을 증액하였다.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의 전력, 폐수 등 기반시설 구축에 1,170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특히, 용인‧평택 반도체 특화단지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에 626억원을 신규 투입한다. 팹리스 기업들이 가격 문제로 구축하기 힘들었던 칩 검증 장비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23억원을 증액하였다. 반도체 인력양성 센터인‘반도체 아카데미(10억원)’의 비수도권 지역 확대도 지원한다. 소부장기업 투자지원금 700억원을 추가 편성하여 기업의 신규투자를 촉진한다. 자동차 부품업체의 친환경차 투자 관련 대출 이자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20억원을 지원한다. 산업단지환경조성사업에 511억원을 증액하여 디지털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산단 고도화를 추진한다.

 

산업부는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 심의를 통해 확정되는 대로 이를 조속히 집행하고 관리에도 최선을 다해나갈 계획이다.

 

담당 부서

기획재정담당관

책임자

과 장

송주호

(044-203-5520)

 

 

담당자

서기관

김인곤

(044-203-5515)

 

 

사무관

조기훈

(044-203-5516)

 

 

주무관

장선화

(044-203-5517)

 

 

주무관

김종호

(044-203-5518)

 

참고

 

2025년 산업부 추가경정예산안 관련 사업

 

 

(단위 : 백만원)

 

구분

세부사업명

‘25년 본예산

(A)

추경(안)

(B)

‘25년 최종안

(A+B)

1

수출지원기반활용

91,364

88,807

180,171

2

무역보험기금출연

80,000

300,000

380,000

3

투자유치기반조성

364,246

39,550

403,796

4

소부장공급망안정종합지원

4,547

85,998

90,545

5

한국광해광업공단출자

200,727

199,430

400,157

6

통상기반조성및역량강화

3,117

1,900

5,017

7

무역기술장벽대응지원

6,688

7,400

14,088

8

용인·평택반도체클러스터전력공급지원

-

62,580

62,580

9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기반시설구축지원

25,213

117,008

142,221

10

산업단지환경조성

331,378

51,100

382,478

11

팹리스기업첨단장비공동지원사업

7,210

2,300

9,510

12

반도체아카데미구축

4,710

1,000

5,710

13

친환경차보급촉진을위한이차보전사업

5,494

2,019

7,513

합계

1,124,694

959,092

2,083,786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첨부파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