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한국도로공사, 토목공사 현장 무인·원격으로</p>
<p>작업자 안전 확보한다</p>
<p style="margin-left:14.6pt"> </p>
<table>
<tbody>
<tr>
<td style="height:77px; width:673px">
<p style="margin-left:19.5pt">‣ 통합 관제 기반으로 대형 건설장비(도저·롤러·굴착기 등) 군집·협업 작업 시연</p>
<p style="margin-left:19.5pt">‣ 작업자-장비가 격리된 무인현장으로 중대재해 위험 원천 차단</p>
</td>
</tr>
</tbody>
</table>
<p style="margin-left:25.0pt"> </p>
<p style="margin-left:23.1pt">□ 한국도로공사(사장 함진규)는 23일(화) 한국건설기계연구원(전북 군산시 소재) 내 시험부지 조성공사 현장에서 다종의 대형 건설장비가 작업자 개입 없이 군집 협업하는 ‘토공 자동화 기술’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p>
<p style="margin-left:23.1pt"> </p>
<p style="margin-left:30.0pt">ㅇ 이번 행사는 지난 2020년부터 한국도로공사가 총괄하고 있는「스마트건설기술개발 국가R&D사업」의 중점과제 중 한양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함께 개발한 토공 자동화 최신기술을 실 현장 적용을 통해 알리고자 마련됐다.</p>
<p style="margin-left:30.0pt"> </p>
<table>
<tbody>
<tr>
<td style="height:171px; width:643px">
<p>※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 국가R&D사업 개요</p>
<p>- 과 제 명 : 도로 실증을 통한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p>
<p>- 기 간 : 2020. 4. ∼ 2025. 12. (5년 9개월)</p>
<p style="margin-left:88.6pt">- 중점분야 : ①토공자동화 및 현장정보 디지털화 ②구조물공 자동화 및 품질관리 ③건설현장 및 작업자 안전 관제 ④데이터 플랫폼 기반 건설관리와 기술실증</p>
</td>
</tr>
</tbody>
</table>
<p style="margin-left:23.1pt"> </p>
<p style="margin-left:23.6pt">☐ 시연에서는 미래 건설산업의 주역이 될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생 등 산·학·연 관계자 약 50여 명이 참석했으며, △디지털 맵핑 △지능형 관제 △협소 공간(30m×50m)에서 다종 중장비의 무인 군집·자동화 작업을 선보였다.</p>
<p style="margin-left:14.6pt"> </p>
<table>
<tbody>
<tr>
<td style="height:69px; width:491px">
<p>①(디지털 맵핑) 먼저 드론(UAV)과 지상주행로봇(UGV) 여러 대가 투입되어 스캔 후, 현장 지형이 3차원 디지털 지도로 자동 생성.</p>
<p> </p>
</td>
</tr>
<tr>
<td style="height:69px; width:491px">
<p>②(지능형 관제) ‘이동형 관제센터’에서는 디지털 지도 기반으로 장비별 최적 작업 계획을 작성하고, 각 장비에 작업 지시.</p>
<p> </p>
</td>
</tr>
<tr>
<td style="height:90px; width:491px">
<p>③(무인 협업 시공) 작업 지시에 따라, 도저가 평탄화 작업을 시작했고 롤러 3대는 서로의 경로를 침범하지 않으면서 협동 다짐 작업과 다짐도 평가를 수행. 굴착기는 배수관 설치를 위한 터파기 작업을 오차 없이 자율 작업으로 완료.</p>
</td>
</tr>
</tbody>
</table>
<p style="margin-left:14.6pt"> </p>
<p style="margin-left:24.6pt">☐ 토공 무인화 기술은 작업자와 중장비의 작업 공간을 격리시켜, 건설 현장의 충돌·끼임 등 중대재해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p>
<p style="margin-left:14.6pt"> </p>
<p style="margin-left:30.4pt">ㅇ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무인 작업을 통해 고령화로 인한 숙련공 부족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p>
<p style="margin-left:30.0pt"> </p>
<p style="margin-left:32.7pt">ㅇ 그동안 한국도로공사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김포-파주 건설공사 1공구’('23년), ‘경부고속도로 신탄진휴게소 하이패스IC 설치공사’('24년) 등의 실제 사업에 해당 기술을 적용해 왔으며, 작년까지는 건설장비 각각의 무인화 작업만 가능했다면 올해는 기술개발을 통해 다종 장비의 협동·군집 작업이 가능하게 됐다.</p>
<p style="margin-left:14.6pt"> </p>
<p style="margin-left:23.2pt">□ 김태병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스마트 건설기술은 적은 인원으로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고, 무인·원격으로 국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안전한 기술임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또한 현장 위험성이 낮아져 청년들을 건설산업으로 유인할 수 있는 핵심 열쇠이며, 정부는 재정지원, 전문인력 양성 및 규제 완화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p>
<p style="margin-left:24.0pt"> </p>
<p style="margin-left:25.2pt">□ 조성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연구처장은 “이번 시연은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공사 현장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건설의 청사진을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 </div>
<div><a href="https://www.ex.co.kr/" target="_blank">**출처 : 한국도로공사(홈페이지 바로가기)</a></div>
한국도로공사, 토목공사 현장 무인·원격으로
작업자 안전 확보한다
‣ 통합 관제 기반으로 대형 건설장비(도저·롤러·굴착기 등) 군집·협업 작업 시연
‣ 작업자-장비가 격리된 무인현장으로 중대재해 위험 원천 차단
|
□ 한국도로공사(사장 함진규)는 23일(화) 한국건설기계연구원(전북 군산시 소재) 내 시험부지 조성공사 현장에서 다종의 대형 건설장비가 작업자 개입 없이 군집 협업하는 ‘토공 자동화 기술’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ㅇ 이번 행사는 지난 2020년부터 한국도로공사가 총괄하고 있는「스마트건설기술개발 국가R&D사업」의 중점과제 중 한양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함께 개발한 토공 자동화 최신기술을 실 현장 적용을 통해 알리고자 마련됐다.
※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 국가R&D사업 개요
- 과 제 명 : 도로 실증을 통한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
- 기 간 : 2020. 4. ∼ 2025. 12. (5년 9개월)
- 중점분야 : ①토공자동화 및 현장정보 디지털화 ②구조물공 자동화 및 품질관리 ③건설현장 및 작업자 안전 관제 ④데이터 플랫폼 기반 건설관리와 기술실증
|
☐ 시연에서는 미래 건설산업의 주역이 될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생 등 산·학·연 관계자 약 50여 명이 참석했으며, △디지털 맵핑 △지능형 관제 △협소 공간(30m×50m)에서 다종 중장비의 무인 군집·자동화 작업을 선보였다.
①(디지털 맵핑) 먼저 드론(UAV)과 지상주행로봇(UGV) 여러 대가 투입되어 스캔 후, 현장 지형이 3차원 디지털 지도로 자동 생성.
|
②(지능형 관제) ‘이동형 관제센터’에서는 디지털 지도 기반으로 장비별 최적 작업 계획을 작성하고, 각 장비에 작업 지시.
|
③(무인 협업 시공) 작업 지시에 따라, 도저가 평탄화 작업을 시작했고 롤러 3대는 서로의 경로를 침범하지 않으면서 협동 다짐 작업과 다짐도 평가를 수행. 굴착기는 배수관 설치를 위한 터파기 작업을 오차 없이 자율 작업으로 완료.
|
☐ 토공 무인화 기술은 작업자와 중장비의 작업 공간을 격리시켜, 건설 현장의 충돌·끼임 등 중대재해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ㅇ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무인 작업을 통해 고령화로 인한 숙련공 부족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그동안 한국도로공사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김포-파주 건설공사 1공구’('23년), ‘경부고속도로 신탄진휴게소 하이패스IC 설치공사’('24년) 등의 실제 사업에 해당 기술을 적용해 왔으며, 작년까지는 건설장비 각각의 무인화 작업만 가능했다면 올해는 기술개발을 통해 다종 장비의 협동·군집 작업이 가능하게 됐다.
□ 김태병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스마트 건설기술은 적은 인원으로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고, 무인·원격으로 국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안전한 기술임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또한 현장 위험성이 낮아져 청년들을 건설산업으로 유인할 수 있는 핵심 열쇠이며, 정부는 재정지원, 전문인력 양성 및 규제 완화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조성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연구처장은 “이번 시연은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공사 현장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건설의 청사진을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