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ITS Korea의 국내뉴스 상세입니다.

[과기부/보도자료] 한국, 제47차 다중 매체(멀티미디어) 부호화 분야 국제표준화회의(ISO/IEC JTC 1/SC 29) 개최 2025-06-24| 작성자 : 대외협력팀| 조회 : 24

한국, 제47차 다중 매체(멀티미디어) 부호화 분야 국제표준화회의(ISO/IEC JTC 1/SC 29) 개최

- 인공지능 기반 코덱, 가상융합세계(메타버스) 등 차세대 매체 표준 주도권 확보 기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정창림)은 2025년 6월 26일부터 7월 6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제47차 ‘다중매체(멀티미디어) 부호화(ISO/IEC JTC 1/SC 29, 이하 JTC 1/SC 29)’ 국제표준화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회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이 주최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주관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차세대 방송·콘텐츠 기술 표준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위해 30여 개 회원국 및 삼성전자, LG전자, 애플, 구글 등 세계적 기업의 전문가 약 6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특히 차세대 비디오 코덱 표준 기술에 대한 제안요청서 논의가 예정되어 있어, 관련 업계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회의 기간에는 JTC 1/SC 29 총회뿐만 아니라, 산하 그룹인 정지영상 부호화(JPEG*), 동영상 부호화(MPEG**), 비디오 부호화 공동 작업반(JVET***)의 회의가 함께 열린다.

 

*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jpg’와 같은 디지털 정지 영상의 압축 표준을 정하는 작업반으로, 이미지의 효율적인 저장과 전송을 위한 기술을 개발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전송 표준화를 위한 작업반으로, MP3, MPEG-4 등 널리 사용되는 동영상 표준 형태(포맷)를 제정

*** Joint Video Experts Team: MPEG과 ITU-T SG21(다중매체<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및 케이블 탤래비전)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비디오 부호화 공동 작업반으로, 고효율 비디오 부호화(HEVC)와 다목적 비디오 코덱(VVC) 등 동영상 압축 표준을 개발

 

주요 안건으로는 신경망(NN*) 기술을 비디오 압축에 도입하기 위한 기술, 자율주행차 영상 분석에 최적화된 '기계를 위한 비디오 부호화(VCM**)', 가상융합세계(메타버스) 환경의 기반이 되는 3차원 입체 정보(포인트 클라우드) 압축 기술 등 인공지능(AI) 기반의 다양한 차세대 기술들에 대한 심도 깊은 표준화가 논의될 예정이다.

 

* Neural Network: 인간의 두뇌에서 영감을 받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컴퓨터를 가르치는 인공지능(AI) 방식

** Video Coding for Machines: 사람의 영상 감상보다 머신의 영상 인지·분석을 위해 영상을 효과적으로 압축하거나 전달하는 기술

 

우리나라는 삼성전자,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산·학·연 전문가 150여 명이 참여해 표준화 활동을 주도하고 있으며, JTC 1/SC 29 산하 MPEG 시스템 작업반(WG 3, 삼성전자 임영권 수석)과 동영상 부호화(MPEG) 작업반 간 소통을 위한 자문그룹(AG 3, 경희대학교 김규헌 교수)에서 컨비너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제회의의 대전 유치는 계획 단계부터 국립전파연구원과 대전관광공사(사장 윤성국)가 협력해 성사되었다. 대전관광공사 윤성국 사장은 "다중매체(멀티미디어) 분야의 권위있는 국제회의가 과학과 기술의 수도인 대전에서 개최되어 큰 의미가 있다"고 말하면서 "전세계 전문가들에게 대전의 과학 기술 기반과 도시의 매력을 홍보하고, 행사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창림 국립전파연구원장은 "이번 국제표준화회의는 인공지능과 가상 융합세계(메타버스) 시대의 핵심 기술 표준화에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차세대 매체(미디어) 기술을 선점하고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표준 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과학기술정보통신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