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width:750px">
<tbody>
<tr>
<td>
<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전기차 화재 징후 시 소방차 실시간 출동</strong></span></p>
<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 신속 대응 체계 시범 운영 시작</strong></span></p>
<p style="margin-left: 24pt; text-align: center;">- 21일부터 소방청 등과 협업, 화재 골든타임 확보 위한 감지·신고 체계 구축</p>
</td>
</tr>
</tbody>
</table>
<p style="margin-left:19.5pt">□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소방청, 한국교통안전공단, 현대차·기아, 비엠더블유코리아와 손잡고 4월 21일부터 ‘전기자동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신고 시범사업’을 시행한다.</p>
<p style="margin-left:24.5pt"> </p>
<p style="margin-left:28.4pt">ㅇ 이번 사업은 전기차에서 화재가 의심되는 상황 발생 시 소방청에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는 감지·신고 체계를 구축하여, 전기차 화재에 대한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p>
<p style="margin-left:28.6pt"> </p>
<p style="margin-left:19.5pt">□ 이번 시범사업은 지난해 8월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 사고를 계기로 마련된 정부의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24.9.6 발표)의 일환으로 현대차·기아, 비엠더블유코리아 등 주요 자동차제작사의 참여로 진행한다.</p>
<p style="margin-left:24.5pt"> </p>
<p style="margin-left:28.2pt">ㅇ 대상차량*은 총 4만 여대로 현대차 1만대(아이오닉5), 기아차 1만대(EV6), BMW/MINI 2만대(BMW iX, iX1, iX2, iX3, i4, i5, i7 등 7차종, 신형 MINI 쿠퍼, 에이스맨 및 컨트리맨 등 3차종) 등이 포함되며, 자동차제작사 및 대상 차종을 지속 확대하여 시범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p>
<p style="margin-left:6.1pt"> </p>
<p style="margin-left:37.2pt">* 대상차량은 자동차 ①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주차 중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및 통신 알림 기능이 장착된 차량으로, ②차량소유자의 개인·위치정보를 소방관계기관 등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동의가 필요</p>
<p style="margin-left:37.2pt"> </p>
<p style="margin-left:20.5pt">□ 신고 체계는 전기차의 운행‧충전‧주차 중 모든 상황에서 자동으로 고전압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화재 징후를 감지하면 고객센터에 자동으로 알린 후 관할지역 소방서에 유선 신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p>
<p style="margin-left:28.2pt">ㅇ 소방서에 신고가 접수되면 차량의 정보(연락처, 차종, 차량번호, 차량위치 등)를 전달하여 119 소방대원이 신속히 출동, 화재 진압이 가능하게 하도록 할 계획이다.</p>
<p style="margin-left:24.5pt"> </p>
<p style="margin-left:28.4pt">ㅇ 아울러, 차량 소유자에게도 유선 및 문자 알림을 통해 고전압 배터리의 화재위험 상황을 안내하게 된다.</p>
<p style="margin-left:36.0pt"> </p>
<p style="margin-left:19.5pt">□ 시범기간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방청과 자동차 제작사는 보다 체계적인 현장 대응이 가능하도록 ‘전기차 화재현장 대응 매뉴얼*’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계획이다.</p>
<p style="margin-left:22.7pt"> </p>
<p style="margin-left:36.2pt">* 전기차 화재 신고로 출동 후 발생되는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매뉴얼로, 소방청 출동 후에도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특수상황 등 다양한 사례를 포함</p>
<p style="margin-left:29.1pt"> </p>
<p style="margin-left:28.3pt">ㅇ 또한,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실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차 안전성 국제기준 마련에도 활용할 계획이다.</p>
<p style="margin-left:6.2pt"> </p>
<p style="margin-left:20.0pt">□ 국토교통부 김홍목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신속 체계를 구축하고, 신고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여 국민불안을 해소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p>
<p style="margin-left:23.9pt"> </p>
<p style="margin-left:23.9pt"> </p>
<p style="margin-left:23.9pt"> </p>
<p style="margin-left:23.9pt"> </p>
<p style="margin-left:42.7pt"> </p>
<p style="margin-left:42.7pt"> </p>
<table>
<tbody>
<tr>
<td style="height:25px; width:128px">
<p>담당 부서</p>
</td>
<td style="height:25px; width:202px">
<p>모빌리티자동차국</p>
</td>
<td style="height:25px; width:81px">
<p>책임자</p>
</td>
<td style="height:25px; width:63px">
<p>과 장</p>
</td>
<td style="height:25px; width:56px">
<p>김은정</p>
</td>
<td style="height:25px; width:105px">
<p>(044-201-3817)</p>
</td>
</tr>
<tr>
<td rowspan="2" style="height:42px; width:128px">
<p><총괄></p>
</td>
<td rowspan="2" style="height:42px; width:202px">
<p>자동차정책과</p>
</td>
<td rowspan="2" style="height:42px; width:81px">
<p>담당자</p>
</td>
<td style="height:21px; width:63px">
<p>사무관</p>
</td>
<td style="height:21px; width:56px">
<p>심형석</p>
</td>
<td style="height:21px; width:105px">
<p>(044-201-3840)</p>
</td>
</tr>
<tr>
<td style="height:21px; width:63px">
<p>주무관</p>
</td>
<td style="height:21px; width:56px">
<p>이인영</p>
</td>
<td style="height:21px; width:105px">
<p>(044-201-3841)</p>
</td>
</tr>
<tr>
<td rowspan="2" style="height:45px; width:128px">
<p>담당 부서</p>
</td>
<td rowspan="2" style="height:45px; width:202px">
<p>소방청 화재예방국</p>
<p>소방분석제도과</p>
</td>
<td style="height:21px; width:81px">
<p>책임자</p>
</td>
<td style="height:21px; width:63px">
<p>계 장</p>
</td>
<td style="height:21px; width:56px">
<p>홍성일</p>
</td>
<td style="height:21px; width:105px">
<p>(044-205-7530)</p>
</td>
</tr>
<tr>
<td style="height:24px; width:81px">
<p>담당자</p>
</td>
<td style="height:24px; width:63px">
<p>담 당</p>
</td>
<td style="height:24px; width:56px">
<p>노시환</p>
</td>
<td style="height:24px; width:105px">
<p>(044-205-7522)</p>
</td>
</tr>
<tr>
<td rowspan="2" style="height:45px; width:128px">
<p>담당 부서</p>
</td>
<td rowspan="2" style="height:45px; width:202px">
<p>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p>
<p>안전연구처</p>
</td>
<td style="height:21px; width:81px">
<p>책임자</p>
</td>
<td style="height:21px; width:63px">
<p>처 장</p>
</td>
<td style="height:21px; width:56px">
<p>이명수</p>
</td>
<td style="height:21px; width:105px">
<p>(031-369-0301)</p>
</td>
</tr>
<tr>
<td style="height:24px; width:81px">
<p>담당자</p>
</td>
<td style="height:24px; width:63px">
<p>책임연구원</p>
</td>
<td style="height:24px; width:56px">
<p>문보현</p>
</td>
<td style="height:24px; width:105px">
<p>(031-369-0302)</p>
</td>
</tr>
</tbody>
</table>
<p style="margin-left:42.7pt"> </p>
<p style="margin-left:28.1pt"> </p>
<div id="hwpEditorBoardContent"><a href="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874" target="_blank">※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div>
전기차 화재 징후 시 소방차 실시간 출동
… 신속 대응 체계 시범 운영 시작
- 21일부터 소방청 등과 협업, 화재 골든타임 확보 위한 감지·신고 체계 구축
|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소방청, 한국교통안전공단, 현대차·기아, 비엠더블유코리아와 손잡고 4월 21일부터 ‘전기자동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신고 시범사업’을 시행한다.
ㅇ 이번 사업은 전기차에서 화재가 의심되는 상황 발생 시 소방청에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는 감지·신고 체계를 구축하여, 전기차 화재에 대한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이번 시범사업은 지난해 8월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 사고를 계기로 마련된 정부의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24.9.6 발표)의 일환으로 현대차·기아, 비엠더블유코리아 등 주요 자동차제작사의 참여로 진행한다.
ㅇ 대상차량*은 총 4만 여대로 현대차 1만대(아이오닉5), 기아차 1만대(EV6), BMW/MINI 2만대(BMW iX, iX1, iX2, iX3, i4, i5, i7 등 7차종, 신형 MINI 쿠퍼, 에이스맨 및 컨트리맨 등 3차종) 등이 포함되며, 자동차제작사 및 대상 차종을 지속 확대하여 시범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 대상차량은 자동차 ①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주차 중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및 통신 알림 기능이 장착된 차량으로, ②차량소유자의 개인·위치정보를 소방관계기관 등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동의가 필요
□ 신고 체계는 전기차의 운행‧충전‧주차 중 모든 상황에서 자동으로 고전압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화재 징후를 감지하면 고객센터에 자동으로 알린 후 관할지역 소방서에 유선 신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ㅇ 소방서에 신고가 접수되면 차량의 정보(연락처, 차종, 차량번호, 차량위치 등)를 전달하여 119 소방대원이 신속히 출동, 화재 진압이 가능하게 하도록 할 계획이다.
ㅇ 아울러, 차량 소유자에게도 유선 및 문자 알림을 통해 고전압 배터리의 화재위험 상황을 안내하게 된다.
□ 시범기간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방청과 자동차 제작사는 보다 체계적인 현장 대응이 가능하도록 ‘전기차 화재현장 대응 매뉴얼*’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 전기차 화재 신고로 출동 후 발생되는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매뉴얼로, 소방청 출동 후에도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특수상황 등 다양한 사례를 포함
ㅇ 또한,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실증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차 안전성 국제기준 마련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김홍목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신속 체계를 구축하고, 신고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여 국민불안을 해소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담당 부서
|
모빌리티자동차국
|
책임자
|
과 장
|
김은정
|
(044-201-3817)
|
<총괄>
|
자동차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심형석
|
(044-201-3840)
|
주무관
|
이인영
|
(044-201-3841)
|
담당 부서
|
소방청 화재예방국
소방분석제도과
|
책임자
|
계 장
|
홍성일
|
(044-205-7530)
|
담당자
|
담 당
|
노시환
|
(044-205-7522)
|
담당 부서
|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안전연구처
|
책임자
|
처 장
|
이명수
|
(031-369-0301)
|
담당자
|
책임연구원
|
문보현
|
(031-369-0302)
|
※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