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ITS Korea의 국내뉴스 상세입니다.

[행안부/보도자료] 인공지능과 공공데이터를 융합해 혁신을 이끄는 'AI 새싹기업' 모여라! 2025-04-09| 작성자 : 대외협력팀| 조회 : 128

인공지능과 공공데이터를 융합해

혁신을 이끄는 ‘AI 새싹기업’ 모여라!

- ‘제13회 범정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

- ‘AI와 공공데이터의 시너지, 혁신을 열다’ 주제로 인공지능(AI) 제품·서비스 장려

- 11월 왕중왕전에서 10개 팀 경합, 역대 수상작 중 우수기업에게 특별상도 수여

 

□ 행정안전부는 48개 기관 예선을 시작으로, ‘제13회 범정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대회는 ‘AI와 공공데이터의 시너지, 혁신을 열다’를 주제로 인공지능(AI) 혁신성 평가지표 신설, 왕중왕전 진출팀에 대한 인공지능(AI) 기술 멘토링 지원 등을 통해 경쟁력 있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기업을 발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 대회는 ▲3월부터 8월까지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및 시도교육청 등 48개 기관 예선, ▲9월 통합본선, ▲11월 왕중왕전 순으로 개최된다.

 

 

< 진행 절차 >

 

 

 

 

 

 

 

 

 

48개 기관예선(∼8월 초)

(중앙·지자체·교육청)

통합본선(9월)

(행정안전부)

왕중왕전(11월)

(행정안전부)

 

 

 

 

 

상위 우수작

통합본선 진출권 부여

왕중왕전 진출

10개 팀 선발 및 멘토링 지원

팀별 현장발표 후

최종 순위 결정 및 시상

○ 각 기관은 예선을 통해 부문별(아이디어 기획,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상위 1개 팀을 선발해 통합본선 진출권을 부여한다.

○ 특히, 올해는 지난해 41개 기관에서 48개 기관으로 예선에 참가하는 기관이 확대됐다.

○ 통합본선에서는 전문가 평가단의 발표심사를 거쳐 최종 10개 팀이 왕중왕전에 진출할 자격을 얻게 되고, 왕중왕전에서는 전문가 평가단(70%)과 국민 평가단(30%)의 평가 결과를 합산하여 10개 팀의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 수상팀에는 심사 결과에 따라 부문별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등 총 10점의 상장이 수여되며, 총상금은 1억 원이다.

○ 올해는 제품·서비스 부문의 상금을 상향 조정하여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제품·서비스 출품을 장려할 계획이다.

< 2025년 제13회 범정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시상규모 >

 

구분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부문(5개 팀)

아이디어 기획 부문(5개 팀)

훈격

상금

훈격

상금

대상

대통령상

2,300만 원

대통령상

1,200만 원

최우수상

국무총리상

1,800만 원

국무총리상

700만 원

우수상

행안부 장관상

1,200만 원

행안부 장관상

300만 원

우수상

중기부 장관상

1,200만 원

중기부 장관상

300만 원

장려상

NIA원장상

800만 원

창업진흥원장상

200만 원

※역대(‘13년~’24년) 수상작 중 우수기업(2개)에 대한 특별상 별도 수여 예정

□ 수상팀은 향후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특허청, 한국특허정보원, 한국발명진흥회, 신용보증기금, 신한카드, 한국Microsoft, SK텔레콤 등에서 창업 관련 금융상담 및 각종 비즈니스 서비스를 지원받을 예정이다.

□ 대회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일정은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suc/startup.do)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참가 신청은 예선 기관별 누리집에서 접수 가능하다.

□ 한편, 공공데이터 창업경진대회는 2013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약 1만 8천여 개 팀이 참가했으며 수상작 137개 중 실제 창업에 성공한 팀은 82개(59.8%, ’25.3월기준)에 달한다.

○ 수상작 가운데 ‘리버트리(12회 대회 우수상)’를 포함한 14개 팀은 총 295억 원 규모의 국내 투자를 유치했으며, ‘애프터레인(12회 대회 대상)’ 등 26개 팀은 총 186건의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는 성과도 있었다.

□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인공지능 제품·서비스 창출을 유도하여 공공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여 나갈 것”이라며, “청년과 인공지능 스타트업기업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 출처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