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width:750px">
<tbody>
<tr>
<td>
<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첨단산업 신시장 선점,</strong></span></p>
<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범정부 표준역량 총결집</strong></span></p>
<p style="text-align:center">- 산업부 등 18개 부‧처‧청 합동 ‘25년 국가표준시행계획 확정, 2,475억원 투자 -</p>
<p style="text-align:center">- 제6차 국가표준기본계획(‘26~’30) 수립 착수 -</p>
</td>
</tr>
</tbody>
</table>
<p> </p>
<p>정부는 첨단산업 분야 표준화와 해외인증 대응 지원 정책에 올해 2,475억원(전년 대비 9% 증가)의 예산을 투입한다. 국가표준심의회(의장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는 산업통상자원부 등 18개 부처청이 표준화 정책을 종합해 마련한 「2025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심의·의결하였다.</p>
<p> </p>
<p>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의 마지막 시행계획인 ‘25년 시행계획에서는 AI, 반도체, 6G 등 첨단산업 분야 신시장 확보를 위한 기술 표준화*에 집중하여 성과 확산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붙임1). 해외인증지원단 운영 등을 통해 우리 수출기업의 인증 부담 완화도 지원한다.</p>
<p style="margin-left:17.2pt"> </p>
<p style="margin-left:21.7pt">* 첨단산업 국가표준화 전략(’24.5월, 산업부), 디지털 기술 표준화 전략(‘23.11월, 과기부) 이행 등</p>
<p> </p>
<p>또한,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활편의 및 안전 표준을 지속 마련하고, 기업에서 표준화를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성 강화를 위한 R&D-표준 연계 확대 등 민간이 주도하는 표준화 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p>
<p style="margin-left:21.7pt"> </p>
<p>한편,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의 이행실적을 점검한 결과 국제표준 제안, 서비스표준 개발 등 성과 지표의 최종 목표들을 ‘24년 조기 달성하였다(붙임2). 이는 한국인 ISO 회장을 비롯한 국제표준 민간 전문가들과 각 부처가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 등에 매진한 성과로 보인다.</p>
<p> </p>
<p>아울러, 향후 5년의 국가표준화 정책 방향을 담는 「제6차 국가표준기본계획(‘26~‘30)」을 수립하고자, 18개 부처청은 ‘범부처 민관 합동 TF‘를 구성하여 디지털AIESG 전환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을 마련하기로 뜻을 모았다.</p>
<p> </p>
<p>오광해 표준정책국장은 “‘25년도 부처별 시행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겠다.”면서, “제6차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경제산업사회 전 분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중장기 표준 전략을 마련하는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 </div>
<div><a href="https://www.kats.go.kr/content.do?cmsid=240&mode=view&page=&cid=25014" target="_blank">※ 출처 : 국가기술표준원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국가기술표준원원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div>
첨단산업 신시장 선점,
범정부 표준역량 총결집
- 산업부 등 18개 부‧처‧청 합동 ‘25년 국가표준시행계획 확정, 2,475억원 투자 -
- 제6차 국가표준기본계획(‘26~’30) 수립 착수 -
|
정부는 첨단산업 분야 표준화와 해외인증 대응 지원 정책에 올해 2,475억원(전년 대비 9% 증가)의 예산을 투입한다. 국가표준심의회(의장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는 산업통상자원부 등 18개 부처청이 표준화 정책을 종합해 마련한 「2025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심의·의결하였다.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의 마지막 시행계획인 ‘25년 시행계획에서는 AI, 반도체, 6G 등 첨단산업 분야 신시장 확보를 위한 기술 표준화*에 집중하여 성과 확산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붙임1). 해외인증지원단 운영 등을 통해 우리 수출기업의 인증 부담 완화도 지원한다.
* 첨단산업 국가표준화 전략(’24.5월, 산업부), 디지털 기술 표준화 전략(‘23.11월, 과기부) 이행 등
또한,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활편의 및 안전 표준을 지속 마련하고, 기업에서 표준화를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성 강화를 위한 R&D-표준 연계 확대 등 민간이 주도하는 표준화 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의 이행실적을 점검한 결과 국제표준 제안, 서비스표준 개발 등 성과 지표의 최종 목표들을 ‘24년 조기 달성하였다(붙임2). 이는 한국인 ISO 회장을 비롯한 국제표준 민간 전문가들과 각 부처가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 등에 매진한 성과로 보인다.
아울러, 향후 5년의 국가표준화 정책 방향을 담는 「제6차 국가표준기본계획(‘26~‘30)」을 수립하고자, 18개 부처청은 ‘범부처 민관 합동 TF‘를 구성하여 디지털AIESG 전환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을 마련하기로 뜻을 모았다.
오광해 표준정책국장은 “‘25년도 부처별 시행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겠다.”면서, “제6차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경제산업사회 전 분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중장기 표준 전략을 마련하는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