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ITS Korea의 국내뉴스 상세입니다.

[과기부/보도자료] 인공지능 컴퓨팅 기반 확충을 통한 국가 인공지능 역량 강화로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 실현 2025-02-21| 작성자 : 대외협력팀| 조회 : 120

인공지능 컴퓨팅 기반 확충을 통한

국가 인공지능 역량 강화로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 실현

-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범부처 「국가 인공지능 역량 강화 방안」 발표

▶ (컴퓨팅기반) 고성능 그래픽 처리장치 1.8만장 확보, 민간투자 활성화 위한 세제지원 및 입지·전력 제도개선

▶ (인공지능 모형) 인공지능 국가대표 정예팀 선발, 데이터‧그래픽처리장치‧연구비 전폭지원으로 세계 최고 대형언머모형(LLM) 개발

▶ (인공지능 인재) 국제 인공지능 경진대회‧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글로벌 AI챌린지‧AI프론티어랩) 등 최고인재 양성 및 해외 인재 유치 지원

▶ (선도과제) 우리 인공지능 인재가 개발한 우리 인공지능모형으로 국가 인공지능 전환 가속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개최된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2월 20일(목) 오전 10시, 서울스퀘어 16층 국가인공지능위원회 회의실)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인공지능(AI)컴퓨팅 기반(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인공지능(AI)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 개요 >

 

 

 

 

∎ (일시/장소) ‘25년 2월20일(목), 10:00~11:30 / 국가인공지능위원회 회의실

∎ (의의) 최근 급변하는 세계 인공지능 생태계 동향을 진단하고,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

∎ (참석) 정부 : 권한대행(위원장), 관계부처 장관 등 10여명

민간 : 염재호 태재대 총장(부위원장) 등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 30명

 

이번에 발표된 「인공지능(AI)컴퓨팅 기반(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인공지능(AI)역량 강화 방안」은 「2025년 경제정책 방향」에 따라 올해 1분기까지 수립할 예정이었던 '인공지능(AI) 컴퓨팅 기반(인프라) 종합대책'을 딥시크 돌풍을 계기로 보다 종합적인 대책으로 확장한 것이다. 이 방안은 이번 주 월요일에 개최된 ‘제3차 인공지능(AI)컴퓨팅 기반(인프라) 특별위원회’(2.17)와 그 다음 날인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당정협의회’(2.18)를 통해 논의된 민‧관의 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범부처 「인공지능(AI)컴퓨팅 기반 확충을 통한 국가 인공지능(AI)역량 강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추진 배경 》

 

미국, 유럽연합, 프랑스 등 주요국이 수 백조 원 규모의 민간투자 유치*를 발표하면서 인공지능 주도권 확보를 위한 국가 간 총력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한편, 최근 중국 딥시크가 효율적 연산방식(알고리즘)을 통해 저비용‧고성능 인공지능 모형 구현에 성공하면서 기존 거대 정보기술기업(빅테크)‧기반 중심의 경쟁구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사고체계를 제시하였다.

 

* ▴(미국) ‘스타게이트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AI)데이터센터에 약 730조원 투자 ▴(유럽연합) ‘AI기가 팩토리 사업’ 포함 약 300조 원 투자 ▴(프랑스)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등에 163조 원 투자

 

《 추진 방향 》

 

‘딥시크 돌풍’이 우리나라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의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정부는 인공지능 컴퓨팅 기반을 조속히 확충하고, 최고급 인공지능 인재를 양성하여 세계적인 인공지능 모형을 개발한다. 이를 토대로 분야별 선도과제를 추진하여 국산 인공지능 서비스의 초기시장을 창출하고 국가 인공지능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3대 추진전략, 6대 핵심과제는 다음과 같다.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첨부파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