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width:750px">
<tbody>
<tr>
<td>
<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당신의 목소리가 미래를 만듭니다.</strong></span></p>
<p style="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24px"><strong>’26년 정부 연구개발 투자방향 공청회 개최</strong></span></p>
<p style="text-align: center;">- 공청회 의견을 바탕으로 ’26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수립</p>
</td>
</tr>
</tbody>
</table>
<p> </p>
<p>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2월 19일(수) 오후 2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이하 ‘’26년도 투자방향(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p>
<p> </p>
<p>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매해 수립하는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은 차년도 정부 연구개발(이하 ‘R&D’) 예산이 투자될 분야와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으로, 향후 정부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의 지침으로 활용된다.</p>
<p> </p>
<p>이번 공청회는 ’26년도 투자방향(안) 수립에 앞서 산업계, 연구계, 학계 등 연구자들과 국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의견수렴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온오프라인 방식을 병행하여 개최되며 과기정통부 생중계 지원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또는 공식 누리집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국민 누구나 공식 누리집 게시판을 통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p>
<p> </p>
<p> </p>
<table>
<tbody>
<tr>
<td style="height:132px; width:635px">
<p style="margin-left:23.6pt">◈ (참고) 온라인으로 공청회 참여방법</p>
<p style="margin-left:23.6pt"> </p>
<p style="margin-left:23.6pt">➊ 유튜브(Youtube) 접속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는 투자방향 검색</p>
<p style="margin-left:23.6pt"> </p>
<p style="margin-left:23.6pt">➋ 공청회 공식 누리집(http://www.rnd2026.com) 접속</p>
<p style="margin-left:23.6pt"> </p>
<p style="margin-left:23.6pt">※ 공청회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 또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누리집 참고</p>
</td>
</tr>
</tbody>
</table>
<p> </p>
<p>특히, ’26년 투자방향 공청회는 정부 연구개발 투자와 관련하여 주요 의제를 제시하고, 의제와 관련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논의하는 ‘현장·연구자 참여 토론회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p>
<p>‘’26년도 투자방향(안)’은 관계부처의 투자우선순위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마련하고 있으며, 간담회 등을 통해 수렴된 연구계와 산업계의 의견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투자방향(안)에 제시된 중점투자방향은 다음과 같다.</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
<p style="margin-left:31.4pt"><u>【 </u><u>3</u><u>대 분야 </u><u>9</u><u>대 중점투자방향</u><u>(</u><u>안</u><u>)</u><u>*</u> <u>】</u></p>
<p style="margin-left:31.4pt"> </p>
<p style="margin-left:31.4pt">[1] 과학기술 혁신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습니다!</p>
<p style="margin-left:31.4pt"> </p>
<p style="margin-left:34.6pt">❶ 인공지능, 첨단 생명과학(바이오), 양자 등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서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혁신적 국면 전환 요소(게임체인저) 기술에 집중 투자</p>
<p style="margin-left:37.2pt"> </p>
<p style="margin-left:34.6pt">❷ 공공기술 사업화, 기업연구개발(R&D) 등 민·관 협업을 통한 규모확대(스케일업) 투자를 강화하여 신산업 창출 가속화</p>
<p style="margin-left:37.2pt"> </p>
<p style="margin-left:34.6pt">❸ 기초연구, 출연연 거점육성 등 지식의 발견과 축적을 지원하여<br />
성장을 위한 국가 기초체력 증진</p>
<p style="margin-left:29.3pt"> </p>
<p style="margin-left:31.4pt">[2] 첨단산업·안보를 지키는 과학기술 주권을 확립하겠습니다!</p>
<p style="margin-left:31.4pt"> </p>
<p style="margin-left:34.6pt">❹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이동수단(모빌리티), 차세대통신 등 우리 주력산업 분야의 차세대 전략기술 투자를 강화하여 국가 경쟁력 제고</p>
<p style="margin-left:31.4pt"> </p>
<p style="margin-left:34.6pt">❺ 유망기업의 해외 현지 실증, 국제 표준의 선제적 개발 등<br />
전략적 국제 협력·진출에 투자를 지속하여 글로벌 공급망 주도</p>
<p style="margin-left:31.4pt"> </p>
<p style="margin-left:34.6pt">❻ 우주, 사이버보안 등 신개념의 기술영토를 개척·수호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첨단안보 역량 증강</p>
<p style="margin-left:29.3pt"> </p>
<p style="margin-left:31.4pt">[3]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국가 임무를 해결하겠습니다!</p>
<p style="margin-left:31.4pt"> </p>
<p style="margin-left:34.6pt">❼ 최고급 과학기술 인재 육성과 해외 인재 유치·교류를 지원하여 새로운 도전을 이어갈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유입을 촉진</p>
<p style="margin-left:31.4pt"> </p>
<p style="margin-left:35.3pt">❽ 에너지 신산업 성장동력화와 에너지 다소비 산업의 고효율·저소비화<br />
및 기후변화 적응 기술에 투자하여 기후대응 임무 달성</p>
<p style="margin-left:31.4pt"> </p>
<p style="margin-left:34.6pt">❾ 과학기술 기반의 지역혁신과 국민의 평온한 일상을 위한 국민 안전 기술 확보를 지속 지원</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 </div>
<div><a href="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307&mPid=208&pageIndex=1&bbsSeqNo=94&nttSeqNo=3185470&searchOpt=ALL&searchTxt=%EA%B3%BC%EA%B8%B0%EB%B6%80" target="_blank">※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div>
</div>
당신의 목소리가 미래를 만듭니다.
’26년 정부 연구개발 투자방향 공청회 개최
- 공청회 의견을 바탕으로 ’26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수립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2월 19일(수) 오후 2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이하 ‘’26년도 투자방향(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매해 수립하는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은 차년도 정부 연구개발(이하 ‘R&D’) 예산이 투자될 분야와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으로, 향후 정부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의 지침으로 활용된다.
이번 공청회는 ’26년도 투자방향(안) 수립에 앞서 산업계, 연구계, 학계 등 연구자들과 국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의견수렴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온오프라인 방식을 병행하여 개최되며 과기정통부 생중계 지원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또는 공식 누리집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국민 누구나 공식 누리집 게시판을 통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 (참고) 온라인으로 공청회 참여방법
➊ 유튜브(Youtube) 접속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는 투자방향 검색
➋ 공청회 공식 누리집(http://www.rnd2026.com) 접속
※ 공청회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 또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누리집 참고
|
특히, ’26년 투자방향 공청회는 정부 연구개발 투자와 관련하여 주요 의제를 제시하고, 의제와 관련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논의하는 ‘현장·연구자 참여 토론회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26년도 투자방향(안)’은 관계부처의 투자우선순위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마련하고 있으며, 간담회 등을 통해 수렴된 연구계와 산업계의 의견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투자방향(안)에 제시된 중점투자방향은 다음과 같다.
【 3대 분야 9대 중점투자방향(안)* 】
[1] 과학기술 혁신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습니다!
❶ 인공지능, 첨단 생명과학(바이오), 양자 등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서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혁신적 국면 전환 요소(게임체인저) 기술에 집중 투자
❷ 공공기술 사업화, 기업연구개발(R&D) 등 민·관 협업을 통한 규모확대(스케일업) 투자를 강화하여 신산업 창출 가속화
❸ 기초연구, 출연연 거점육성 등 지식의 발견과 축적을 지원하여
성장을 위한 국가 기초체력 증진
[2] 첨단산업·안보를 지키는 과학기술 주권을 확립하겠습니다!
❹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이동수단(모빌리티), 차세대통신 등 우리 주력산업 분야의 차세대 전략기술 투자를 강화하여 국가 경쟁력 제고
❺ 유망기업의 해외 현지 실증, 국제 표준의 선제적 개발 등
전략적 국제 협력·진출에 투자를 지속하여 글로벌 공급망 주도
❻ 우주, 사이버보안 등 신개념의 기술영토를 개척·수호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첨단안보 역량 증강
[3]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국가 임무를 해결하겠습니다!
❼ 최고급 과학기술 인재 육성과 해외 인재 유치·교류를 지원하여 새로운 도전을 이어갈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유입을 촉진
❽ 에너지 신산업 성장동력화와 에너지 다소비 산업의 고효율·저소비화
및 기후변화 적응 기술에 투자하여 기후대응 임무 달성
❾ 과학기술 기반의 지역혁신과 국민의 평온한 일상을 위한 국민 안전 기술 확보를 지속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