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border="1" cellpadding="1" cellspacing="1" style="width:750px">
<tbody>
<tr>
<td>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span style="font-size:24px">인공지능 활용 연구개발 체계(패러다임) 전환을 통해</span></strong></p>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span style="font-size:24px">고난이도 연구역량 확보 및 글로벌 기술강국 도약</span></strong></p>
<p style="text-align: center;">-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3.12)에서 「세계 과학기술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과학기술(S&T) 활성화 방안」 발표</p>
<p style="text-align: center;">- ➊8대 유망기술 분야 특화 인공지능 모형 개발 등을 통해 인공지능+과학기술(AI+S&T) 혁신 가속화,<br />
➋전용 컴퓨팅 자원 확충, 고품질 데이터 확충 등 인공지능+과학기술(AI+S&T) 기반 강화</p>
</td>
</tr>
</tbody>
</table>
<p> </p>
<p>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12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인공지능+과학기술(AI+S&T<Science&Technology>)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고 밝혔다.</p>
<p> </p>
<p>이번 전략은 전세계적인 인공지능 활용 연구개발 체계(R&D 패러다임)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과학기술 전반에 인공지능 활용을 확산하고자 마련되었다.</p>
<p> </p>
<p>「인공지능+과학기술 활성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p>
<p> </p>
<p>《 추진 배경 》</p>
<p> </p>
<p>최근 산업·공공·일상으로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혁신사례가 도출되고 있다. 특히, 2024년 노벨화학상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자가 수상하는 등 인공지능을 이용한 연구개발 체계(패러다임) 전환이 시작되고 있다. 인공지능 역설계로 신구조·신물성을 발견하거나 모의 실험(시뮬레이션)을 가속화함으로써, 대규모 데이터 분석이나 장기적인 실험이 필요한 고난이도 연구에서 난제를 해결하거나,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p>
<p> </p>
<p>우리나라가 이러한 인공지능 활용 연구개발 체계(패러다임)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과학기술 전반에 인공지능 활용을 확산하여 세계 과학기술 강국으로의 도약에 기여하고자 한다.</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p>《 주요 추진과제 》</p>
<p> </p>
<p><u>첫째</u><u>, </u><u>8</u><u>대 유망기술 분야 특화 인공지능 모형 개발</u><u>, </u><u>과학기술 지식 창출에 특화된 </u><u>차세대 인공지능</u><u>+</u><u>과학기술 기반기술 개발</u> <u>등을 통해 </u><u>인공지능</u><u>+</u><u>과학기술 혁신을 가속화</u><u>한다</u><u>.</u></p>
<p> </p>
<p>먼저, 주요 국가전략기술 및 미래 유망기술 8개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모형을 개발한다. 개발된 인공지능 모형은 신구조·신물성 탐색, 반복실험 수행 및 대량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분야별 고난이도 연구 수행을 지원하게 되며, 인공지능 활용 연구가 비교적 활성화된 혁신 신약, 차세대 신소재 분야와 같은 인공지능 활용 연구개발 혁신 성공사례를 과학기술 전반에 확산해 나간다.</p>
<div id="hwpEditorBoardContent"> </div>
</div>
<div>...중략...</div>
<div> </div>
<div><a href="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307&mPid=208&pageIndex=&bbsSeqNo=94&nttSeqNo=3185558&searchOpt=ALL&searchTxt=" target="_blank">※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 바로가기/원문보기)</a><br />
※ 원문 및 첨부파일 등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div>
인공지능 활용 연구개발 체계(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고난이도 연구역량 확보 및 글로벌 기술강국 도약
-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3.12)에서 「세계 과학기술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과학기술(S&T) 활성화 방안」 발표
- ➊8대 유망기술 분야 특화 인공지능 모형 개발 등을 통해 인공지능+과학기술(AI+S&T) 혁신 가속화,
➋전용 컴퓨팅 자원 확충, 고품질 데이터 확충 등 인공지능+과학기술(AI+S&T) 기반 강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12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인공지능+과학기술(AI+S&T)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은 전세계적인 인공지능 활용 연구개발 체계(R&D 패러다임)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과학기술 전반에 인공지능 활용을 확산하고자 마련되었다.
「인공지능+과학기술 활성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추진 배경 》
최근 산업·공공·일상으로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혁신사례가 도출되고 있다. 특히, 2024년 노벨화학상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자가 수상하는 등 인공지능을 이용한 연구개발 체계(패러다임) 전환이 시작되고 있다. 인공지능 역설계로 신구조·신물성을 발견하거나 모의 실험(시뮬레이션)을 가속화함으로써, 대규모 데이터 분석이나 장기적인 실험이 필요한 고난이도 연구에서 난제를 해결하거나,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이러한 인공지능 활용 연구개발 체계(패러다임)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과학기술 전반에 인공지능 활용을 확산하여 세계 과학기술 강국으로의 도약에 기여하고자 한다.
《 주요 추진과제 》
첫째, 8대 유망기술 분야 특화 인공지능 모형 개발, 과학기술 지식 창출에 특화된 차세대 인공지능+과학기술 기반기술 개발 등을 통해 인공지능+과학기술 혁신을 가속화한다.
먼저, 주요 국가전략기술 및 미래 유망기술 8개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모형을 개발한다. 개발된 인공지능 모형은 신구조·신물성 탐색, 반복실험 수행 및 대량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분야별 고난이도 연구 수행을 지원하게 되며, 인공지능 활용 연구가 비교적 활성화된 혁신 신약, 차세대 신소재 분야와 같은 인공지능 활용 연구개발 혁신 성공사례를 과학기술 전반에 확산해 나간다.
...중략...